- 최신버전의 MySQL 소스 버전을 다운 받습니다. 
 
 한국미러사이트
 화일명은 mysql-버전.tar.gz  입니다.
 예) mysql-3.22.25.tar.gz <-- 화일이 링크되어있습니다.
- 다운 받은 화일을 FTP를 이용 여러분의 서버 /tmp 에 옮겨 놓구요 (/tmp가 싫으면 맘에드는 작당히 곳에)
 
- 제대로 왔나 한번 확인해 보죠. (화일크기는 좀 다를 수도 있습니다.) 
 
[/tmp]# ls -al my*
-rw-r--r--   1 hts      hyuweb    3918463 Aug 13  1999 mysql-3.22.25.tar.gz
- 압축을 풉니다.
 
[/tmp]# gzip -dc mysql-3.22.25.tar.gz | tar -xvf -
- 압축이 풀린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.
 
[/tmp]# cd mysql-3.22.25
- 환경설정을 해야 겠죠.. ./configure --prefix=/usr/local/mysql 이라구 합니다.
 
여기서 --prefix는 설치할 곳을 지정하는 것이지요.. 일반적으로 /usr/local/mysql에 설치합니다.
-  make 이렇게 쳐주면 됩니다.
 
-  make install
  
 복잡한 문자들이 나오죠? 잘 되고 있는 것입니다. 소스를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과정이죠..
 이렇게 하면 시간이 많이 걸리기는 하지만 자기 컴에 가장 잘 맞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니 더 효율적입니다.
-  MySQL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합니다.
 
 [/tmp]# cd /usr/local/mysql/bin
-  설치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. 
 
 [/usr/local/mysql/bin]# ./mysql_install_db
-  설치는 끝났습니다. 하지만 매번 부팅할때 마다 데몬을 띄울 순 없죠..
 
 /etc/rc.d/rc.local 이라는 파일에다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삽입합니다.
 echo Starting MySQL : mysqld
 /bin/sh -c 'cd /usr/local/mysql; bin/safe_mysqld &'
-  이렇게 해서 MySQL은 완벽하게 설치가 끝났습니다.